서울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3명 ‘무단횡단’

김정은 / 2018-11-06 14:07:44
오중석 서울시의원 “고령자가 절반…지역·연령대별 안전대책 필요”

▲서울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3명은 무단횡단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사진=세계로컬타임즈 DB)
[세계로컬타임즈 김정은 기자]서울 교통사고 사망자 중 10명 중 3명은 무단횡단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 오중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동대문구2)은 5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교통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284회 정례회에서 도시교통본부를 대상으로 무단횡단 사망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질의했다.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총 사망자는 352명으로 2015년 사망자 121명, 2016년 사망자 115명, 2017년 사망자 116명을 기록했다. 한해 평균 117명이 무단횡단으로 사망하는 것이다. 서울시 무단횡단 방지 대책에도 사망자는 해마다 100명을 훌쩍 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사망자까지 하면 사망자수는 더 늘어난다.

서울시 전체 각종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069명으로 이중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망자는 352명으로 33%를 차지한다. 즉 서울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3명 이상이 무단횡단으로 사망했다.

특히, 고령자의 사망이 매우 높았다. 최근 3년간 무단횡단 사망자 352명 중 고령의 사망자는 총 199명으로 60대 사망자 66명, 70대 사망자 89명, 80대 사망자 44명이다. 전체 사망자의 56.5%에 달한다. 서울시의 무단횡단 방지 정책이 실효성도 없지만 연령별에 대한 세부 정책은 더욱 부족하다는 방증이다.

일례로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일대는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전국 1위였다. 그러나 동대문구와 동대문 경찰서에서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정책을 펼쳐 지난해에는 사망자가 25명에서 7명으로 줄었다.

오 의원은 “서울시의 무단횡단 사고 방지 정책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단순한 무단횡단 방지시설 설치를 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동대문의 사례와 같이 각 자치구와 협의하여 지역적, 연령대별 각 상황에 맞는 무단횡단 방지 정책을 세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은

김정은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