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시의회 김봉균 의원, 5분발언... “산불 막으려면 ‘임도 확대’ 시급”

김병민 기자 / 2025-05-01 14:28:56
- “노령화된 숲, 산림 세대교체와 탄소중립 실현 위한 기반도 필요”
당진시의회 김봉균 의원.

[세계로컬타임즈] 당진시의회 김봉균 의원이 산불 예방과 산림 관리 강화를 위한 핵심 대책으로 ‘임도(林道)’ 설치 확대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5월 1일 열린 제11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잇따른 대형 산불로 국민의 생명과 국가 자산이 위협받고 있다”며 “산불 대응과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위해 임도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최근 울산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인명은 물론 산림과 주택, 국가문화유산에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고 말하며, “산불 재해에 근본적으로 대응하려면 산림 내 소방 접근성을 높이는 임도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내 임도 조성 수준이 국제 기준은 물론 국내 권장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임도 밀도는 헥타르(ha)당 4.1m 수준으로, 권장 기준인 6.8m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는 일본, 독일 등 산림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충청남도가 수립한 임도 설치계획에 따르면, 당진시에는 총 25.5km의 임도가 조성될 계획이었으나, 현재까지 17.5km만이 설치됐고, 올해 추가로 계획된 구간도 3.56km에 불과해 연내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 의원은 특히 임도 유무에 따라 산불 진화 속도와 피해 규모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을 사례를 통해 설명했다. 울산의 한 지역에서는 임도가 잘 정비된 곳에서 산불이 20시간 만에 진화된 반면, 임도가 없는 지역은 128시간이 걸려 피해가 더욱 심각했다는 것이다. 그는 “임도는 단순한 숲길이 아니라, 재난 대응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임도가 있는 곳과 없는 곳의 산불 진화 시간 차이는 6배 이상”이라고 밝혔다.

산불 대응뿐 아니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림 세대교체’에도 임도가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그는 “우리 숲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탄소 흡수 능력이 저하되고 있다”며 “노령화된 산림을 젊은 숲으로 바꾸기 위해서도 임도는 없어서는 안 될 기반시설”이라고 설명했다.

산림청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탄소흡수원 확충과 더불어 지속적인 산림 재구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점차 커지고 있다. 김 의원은 “임도 설치 권한이 지방으로 이양된 지금, 당진시가 보다 주도적이고 책임감 있게 산림 재해 대응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임도 설치를 단순한 예산 문제가 아니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투자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당진시는 매년 임도 설치 예산을 편성하고 있지만, 예산 확보와 산지 지형 문제 등으로 인해 설치 속도가 더딘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산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지자체 차원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재정 투자와 행정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병민 기자

김병민 기자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