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배 의원은 "국내에서 가스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가스안전에 대한 국민 교육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사진=픽사베이 제공) |
이종배 의원(충북 충주, 산자중기위 자유한국당 간사)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가스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8월 말까지 총 574건의 가스사고가 발생해, 61명이 사망하고 524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도별로 각각 ′14년에는 120건이 발생해 105명의 사상자가, ′15년은 118건, 133명, ′16년 122건, 118명, ′17년 121건, 114명, 2018년(8월 말 기준)에는 93건이 발생해 70명이 죽거나 다쳤다. 이는 평균 3일에 한 번꼴로 가스사고가 발생해 3일에 최소 한 명 이상 사망하거나 다친 것이다.
사고원인별로는 사용자 취급부주의가 167건으로 29.1%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시설미비 118건(20.6%), 제품노후 또는 고장 87건(15.2%), 고의사고 61건(1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는 폭발에 의한 사고가 202건(35.2%)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재에 의한 사고가 127건(22.1%), 누출에 의한 사고가 121건(21.1%), 파열에 의한 사고가 83건(14.5%) 등의 순으로 발생했다.
발생장소별로는 주택에서 215건이 발생해 전체의 37.5%를 차지했고, 펜션·산장·가건물·비닐하우스 등 기타장소에서 90건(15.7%), 식품접객업소에서 85건(14.8%), 제조시설 등 가스허가업소에서 69건(12%), 학교·유치원·어린이집·학원 등 제1종 보호시설에서 38건(6.6%)이 발생했다.
한편, 지역별로 경기도가 1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74건, 부산 51건, 충남 42건, 경북 39건, 강원 35건, 충북 3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주택에서 발생한 가스사고가 다른 곳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고, 특히 사용자 취급부주의로 인한 인재가 167건으로 전체사고의 35.2%에 달하는 만큼, 가스안전에 대한 對국민 홍보 및 교육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식품접객업소, 학교·유치원·어린이집·학원 등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들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