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선택 대전시장이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에서 트램의 장점을 강조하고 있다.<사진=오영균 기자> | 
[세계로컬신문 오영균 기자] 권선택 대전시장이 "트램은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등 장점으로 전국적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또 "트램 도입을 뒷받침하기 위한 법 개정도 20대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순조롭게 진행돼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어 조속한 시일 안에 트램 조성의 첫 발을 뗄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에서 "대전이 전국 최초로 트램 도입을 선언한지 3년만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권 시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트램 도입을 추진한지 어느덧 3년이 됐다. 초기에는 트램이 되겠어 등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했는데 많은 분들이 도와주고 힘을 모아준 덕분에 이제는 성공적으로 정착돼 가고 있다”며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등 트램의 장점이 공감대를 얻으면서 전국 10여개 자치단체에서 앞 다투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구가 감소하는 시대다. 세종시로 인구를 뺏기고 있다. 미세먼지가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시대. 도시재생이 화두가 되는 시대. 이런 때 트램이 대안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트램 도입을 뒷받침하기 위한 법 개정 문제도 20대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순조롭게 진행돼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특히 대통령께서 대전 도시철도2호선 트램 조기착공 지원과 시범노선 건설을 약속하신 만큼 트램은 앞으로 더욱 탄력을 받아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 시장은 이제 트램이 대전의 현안을 넘어 전국적인 정책 의제가 됐다고 했다. 대전이 전국 최초로 트램 도입을 선언한 이후 제주, 수원 등 10개 지자체도 트램을 추진 중이다. 
권 시장은 “이제는 이러한 분위기를 잘 살려나가야 한다.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간 공조체계도 갖춰 나가야 할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전국 단위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권 시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다양한 정책제언과 대안들이 제시되어 트램 도입을 앞당기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맹성규 국토교통부 2차관은 심포지엄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축사를 통해 시민의 발이 될 트램이 보다 빠른 시일 내에 보다 많은 곳에서 달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 ▲ 왼쪽부터 맹성규 국토교통부 2차관, 권선택 대전시장, 황희 국회의원(민주당·양천구)이 ‘2017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사진=오영균 기자> | 
맹 차관은 “지난해 지자체가 트램을 도입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도시철도법을 개정했다. 또한 올 1월에는 노면전차 운전면허 제도 등을 규정한 철도안전법 하위법령도 개정·공포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국내에서는 대전을 비롯해 부산, 수원, 위례신도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무가선 트램이 실제 도로 환경에서 차질 없이 운행 될 수 있도록 실증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29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트램 심포지엄’에서 참석한 대전시민과 서울 양천구민들이 토론을 경청하고 있다.<사진=오영균 기자> | 
맹 차관은 트램이 환경오염 심화로 친환경·고효율의 교통수단이 필요하다는 인식과 교통체증문제 해소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정부도 트램 도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그는 “국토교통부는 트램 도입을 위해 지난 2009년부터 국가 R&D사업으로 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그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기술을 접목한 무가선 트램을 개발한 바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