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일 발생한 제주 삼다수 생산공장 근로자 사망사건은 사실상 이미 예견된 인재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사진=제주도개발공사 홈페이지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발생한 제주 삼다수 생산공장 근로자 사망사고는 사실상 안전불감증에 따른 예견된 인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관리주체인 제주도개발공사가 사고 발생 7개월 전 받은 지적사항을 개선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권은희(바른미래당) 의원은 제주도 대상 국정감사에서 지난 20일 발생한 제주 삼다수 공장 사고에 대해 제주도개발공사의 안전 불감증을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 자리에서 권 의원은 지난 3월 대한산업안전협회가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삼다수 공장에 대해 실시한 정기안전점검 결과를 공개했다.
당시 대한산업안전협회는 ‘삼다수 공장 내 기계설비에 대한 청소와 점검, 보수 작업을 할 경우 협착 등 사고위험이 있어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조치를 이행하라'고 제주도개발공사에 요구했다.
특히 대한산업안전협회는 이에 대한 조치사항으로 ▲해당 기계설비의 전원 차단 및 가동 중지 ▲전원부 안전 태그(Tag) 부착 등을 명기했다.
하지만 제주도개발공사는 이 같은 조치사항을 이행하지 않았고 정기점검에서 우려한 대로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다.
삼다수 공장 사고는 지난 20일 오후 6시 40분께 공장 내 페트(PET) 제조 공정 과정 중 센서 이상으로 가동이 멈춘 설비를 확인하던 직원 김 모(37) 씨가 장비에 목이 끼어 숨진 사건이다.
이와 관련, 권 의원은 “이번 사고는 제주도 차원의 안전 불감증을 확인해주는 것”이라며 “정확한 지적사항을 받아들고도 아무 조치를 않은 것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며, 개선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