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사진=서울시)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12월과 관련이 있는 미래유산 중, 시민 투표를 통해 ‘이달의 미래유산’을 선정하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이자 악기 및 음악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낙원악기상가’, 대한민국의 발전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교육·전시공간인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시인 김광섭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을 당시 옥고를 치른 경험을 바탕으로 쓴 시 ‘독방 62호실의 겨울’이 12월의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 낙원악기상가
1970년 12월에 완공한 국내 최대 규모의 악기상점으로, 악기 및 음악에 관한 제품과 정보교류의 중심지로 뽑힌다. 준공 당시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로 건축됐으며, 음악 문화의 역사를 고스란히 머금고 있는 장소라는 측면에서 2013년에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1970년 초반의 ‘낙원악기상가’는 원래 낙원시장 자리에 만들어진 상가였기 때문에 의류를 비롯한 시장 상인들이 주류를 이뤘다. 이후 1979년 탑골공원 정비사업으로 그 자리에 있던 악기 점포들이 철거되며 낙원상가로 많이 이주했고, 그 결과 현재 낙원 악기상가에는 관・현악기는 물론 음향기기와 악세서리 등을 판매하는 총 221개의 상점이 입점해 있는 최대 규모의 악기상가가 됐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2년 개관해 대한민국의 발전 관련 자료를 수집・보존・연구하는 교육문화공간이다. 박물관의 현 목적과 더불어 박물관으로 개관 이전에도 경제기획원, 문화체육관광부의 관사로 기능하며 대한민국의 경제와 문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장소라는 측면에서 2013년에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현재4개의 상설전시관과 2개의 기획전시실로 이뤄져 대한민국의 발전사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다. 현재는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온라인에서 사전 예약한 후 방문할 수 있다.
▲ 독방 62호실의 겨울
1949년 12월 발간된 시집 ‘마음’에 수록된 시 ‘독방 62호실의 겨울’은 시인 김광섭이 약 3년 8개월간 옥고를 치른 경험을 바탕으로 쓰인 시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독립투사들을 수감했던 아픔을 담고 있는 서대문 형무소 독방의 모습이 시에서 잘 드러나 2016년에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시인 김광섭은 초기에는 일제강점기에서 느끼는 고독과 불안이라는 허무 의식을 표현했고, 광복 이후에는 일상생활 속 소재를 통해서 인간애가 담긴 시를 썼다. 대표 시로 ‘성북동 비둘기’가 있으며, 이 역시 2016년에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